루피니빈 재배법과 섭취 전 주의사항, 집에서 키우는 당뇨콩
루피니빈이라는 콩을 알게 되고 나니, 한 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이걸 집에서 직접 키워볼 수는 없을까?"
요즘은 텃밭 가꾸기나 베란다 재배 같은 ‘반(半)자급자족’에 관심을 갖는 분들도 많잖아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루피니빈이라는 식물이 어떤 녀석인지,
그리고 정말 키울 수 있는지, 주의할 점은 없는지 정리해보려 합니다.
루피니빈은 어떤 식물일까?
루피니빈 먹는 법, 콩밥 레시피, 다이어트·효소 활용법
루피니빈이 좋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막상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모르겠는 분들 많으시죠?저도 처음엔 생소한 콩 이름에 “그냥 병아리콩처럼 삶아서 먹으면 되는 거야?” 싶었는데요, 막상 찾아
adelietoday.com
루피니빈은 ‘루핀콩(Lupin)’이라고도 불리는 식물입니다.
외형은 우리에게 익숙한 흰강낭콩이나 병아리콩과 비슷하지만,
단백질 함량이 훨씬 높고, 탄수화물은 적은 편입니다.
특히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며, 유럽과 호주, 북미 일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어요.
콩과 식물이지만 뿌리에서 질소를 고정시키는 능력도 있어서,
토양에도 좋은 영향을 주는 ‘착한 작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재배할 수 있을까?
루피니빈 효능 비교, 병아리콩, 카무트 당뇨에 좋은 콩은 따로 있다?
요즘 슈퍼푸드로 주목받는 ‘루피니빈’.이름만 들어도 낯설죠. 저도 처음엔 ‘이게 무슨 콩이야?’ 싶었거든요. 그런데 알고 보니, 단순히 생소한 곡물이 아니라 꽤 오랜 역사를 지닌 고단백
adelietoday.com
결론부터 말하면, 온도와 조건만 맞으면 재배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에서는 씨앗 확보가 쉽지 않고, 식용 품종과 사료용 품종이 혼재되어 있어
선별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본 재배 조건은 다음과 같아요.
▶ 파종 시기 : 국내기준
지역 | 봄 파종 | 가을 파종 | 비고 |
중부·북부 | 3월 하순 ~ 4월 중순 | 9월 중순 ~ 10월 초 | 늦서리는 피해야 함 |
남부·제주 | 2월 말 ~ 3월 중순 | 9월 초 ~ 9월 말 | 월동 가능성 있음 |
베란다·실내 | 연중 가능 | 연중 가능 | 단, 온도 10도 이상 유지 필수 |
▶ 일조 조건: 햇빛이 잘 드는 곳, 반그늘은 비추천
▶ 토양: 배수가 잘되는 토양, pH 6.0~7.5
▶ 물주기: 싹이 트기 전에는 흙이 마르지 않게 자주, 이후엔 겉흙 기준으로 관리
▶ 수확 시기: 파종 후 약 3~4개월 후 꼬투리가 갈색으로 변하면 수확
루피니빈은 생각보다 뿌리가 깊게 자라기 때문에 화분보다는 텃밭에 적합하고,
만약 베란다에서 키우려면 깊이 있는 화분(30cm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씨앗 고르기, 여기서부터 신중해야 합니다
루피니빈은 크게 쓴 루핀(bitter lupin)과 단 루핀(sweet lupin)으로 나뉩니다.
쓴 루핀은 알칼로이드 함량이 높아 독성이 있어 절대 생식 불가하며,
식용으로 판매되는 것은 대부분 단 루핀입니다.
그래서 재배용 씨앗을 고를 땐 반드시 ‘sweet lupin’, 또는 ‘low-alkaloid’ 표시가 있는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해외 씨앗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루핀은 관상용이거나 사료용일 수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섭취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점 – 독성 문제
루피니빈을 직접 재배해 먹으려면 반드시 기억해야 할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생콩 상태에서는 독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루피니빈에는 루피닌(lupanine)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어
섭취 전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복통, 메스꺼움,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유럽에서도 물에 장시간 불린 후 삶아낸 후에만 식용으로 사용합니다.
집에서 재배한 루피니빈을 먹으려면 반드시 다음 절차를 지켜야 해요.
▶ 수확 후 콩을 깨끗이 씻어 하루 이상 물에 담가 두기
▶ 물을 수시로 갈아주며 2~3일간 불림 (알칼로이드 제거)
▶ 삶아서 충분히 익힌 후 섭취
▶ 그대로 보관은 금지 – 삶은 후 냉장 또는 냉동 보관
혹은, 재배는 관상용으로만 하고
섭취는 가공된 시판 제품을 활용하는 것도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루피니빈, 직접 키울만한 가치가 있을까?
재배 난이도 자체는 중급 정도입니다.
다만 씨앗 확보, 알칼로이드 처리, 수확 후 보관 등
일반적인 콩보다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아 초보자에게는 다소 까다로울 수 있어요.
하지만 직접 키운 루피니빈으로 건강식단을 꾸린다는 건
분명 의미 있는 시도이고, 아이들과 함께 건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읽으면 좋은 글
▶ [1편 보러가기] 루피니빈 vs 병아리콩·카무트, 당뇨에 좋은 콩은 따로 있다?
▶ [2편 보러가기] 루피니빈, 이렇게 먹어야 진짜 효과 본다 – 콩밥부터 효소·다이어트 활용까지
루피니빈 효능 비교, 병아리콩, 카무트 당뇨에 좋은 콩은 따로 있다?
요즘 슈퍼푸드로 주목받는 ‘루피니빈’.이름만 들어도 낯설죠. 저도 처음엔 ‘이게 무슨 콩이야?’ 싶었거든요. 그런데 알고 보니, 단순히 생소한 곡물이 아니라 꽤 오랜 역사를 지닌 고단백
adelietoday.com
댓글